CEO REPORT
SEPTEMBER 2025 Vol.246

SEPTEMBER 2025 Vol.246

START-UP

IBK 창공 육성기업

• 코넥티브
• ㈜티씨엠에스
• ㈜블랙후즈
• ㈜노드큐어
• ㈜모플랫
• ㈜스페이스빔

글. 편집부

AI와 로봇으로 혁신하는
정형외과 통합 솔루션

코넥티브 노두현 대표

주요 기술
딥러닝 기반 X-ray 판독 기술, 스캐너 방식 수술 설계 및 동작 로봇
주요 제품
AI 기반 X-ray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 정밀 진단 리포트 생성 시스템, 인공관절 치환술 수술 로봇
홈페이지 www.connecteve.com

AI 기술은 환자와 의료진의 신뢰를 만들고 의사의 진단 한계를 넘어서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넥티브는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해 정형외과 진료 전 과정을 혁신하는 헬스케어 테크 기업이다. 서울대 의대 출신 의료진과 로봇, AI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인 코넥티브는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부터 수술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통합 솔루션을 개발해 환자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진의 진료 효율을 극대화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무릎 관절염과 하지 정렬 같은 근골격계 질환에 특화된 AI 기반 X-ray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 정밀 진단 리포트 생성 시스템, 실시간 3D 스캐닝 기술이 탑재된 수술 로봇 ‘CONNEVO ROBOT’이 있다. CONNEVO ROBOT은 기존의 내비게이션 방식과는 달리 환부를 자동 스캔하고 수술 경로를 실시간으로 만들어서 수술 시간을 줄이고 조직 손상도 최소화한다. 여기에 더해 다양한 수술에 적용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와 사용하기 편한 UI까지 갖췄다. 코넥티브의 일부 제품은 국내와 UAE인허가를 마쳤고 CE와 FDA 인증 절차도 진행 중이다. 국제표준 분석 기술과 자체 개발한 센서와 로봇 액세서리를 기반으로 경쟁사보다 더 높은 정확도와 편의성을 인정받고 있다.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술 개발과 임상 인허가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대형 병원과 글로벌 제조사, 제약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도 강화하며 2029년 로봇 출시와 판매를 목표로 개발과 인허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의
선두 주자

㈜티씨엠에스신태용 대표

주요 기술
고강도 분리막 연신 클립과 장비 제작 기술
주요 제품
이차전지 분리막 생산용 소재·부품·장비
홈페이지www.tcms.co.kr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는 전기자동차 산업의 핵심이라 불린다. ㈜티씨엠에스는 국내 최초로 이차전지의 핵심 기술인 분리막 필름 연신 클립 및 차세대 분리막 제조 장비를 개발하는 등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한다.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에 필수적인 동시 이축연신(MDR)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고강도·고속·대폭 생산이 가능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열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MD·TD 방향의 정밀한 연신이 가능해 분리막의 기공 균일성과 내열성을 크게 향상했다. 이는 배터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요소로 국내 대기업의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우수성을 입증했다. ㈜티씨엠에스는 해외 의존도가 100%에 달했던 분리막 연신 클립과 시스템 시장에서 국내 최초로 기술 국산화를 이뤄냈다. 이를 통해 신속한 공급 및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나아가 고배율 레일 및 클립 제작, 9M 대폭 노즐 제작, 400℃ 고온 챔버 제작 등 차세대 분리막 기술 개발에 집중하면서 전기자동차 시대의 고효율 이차전지 소재, 부품, 장비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티씨엠에스는 다공성 폴리이미드를 활용한 가스 분리막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포집(탄소중립) 시장에서 차세대 기술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AI로 만나는 고객의 진심

㈜블랙후즈이은호 대표

주요 기술
최첨단 sLM 기반 AI ‘CURI’
주요 제품
CURI AI
홈페이지www.curiai.io

AI가 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 ㈜블랙후즈(CURI AI)는 ‘그렇다’라고 답한다. ㈜블랙후즈가 개발한 CURI AI는 100개국 이상 언어로 고객 인터뷰와 설문을 수행할 수 있는 AI 기반 솔루션이다. 기존의 느리고 비싼 심층 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때문이다. ㈜블랙후즈가 자체 개발한 소규모 언어모델(sLM) 기술을 활용해 응답자의 답변을 정밀하게 이해하고 맞춤형 후속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가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CURI AI에는 음성 인식, 자동 질문 생성, 실시간 분석 기능이 탑재돼 누구나 쉽게 인터뷰와 설문을 진행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스토리 형태로 재구성돼 직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보고서로 제공한다. 단순한 여론조사나 투표가 아닌 고객이 실제로 사용하는 언어와 맥락까지 반영해 초개인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합 대시보드를 통해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 리포트 작성까지 전 과정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은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기존 인터뷰 대비 99.5% 저렴한 비용으로 1대1 인터뷰를 할 수 있어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과 소상공인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블랙후즈는 국내외 벤처투자사로부터 기술력과 팀의 역량을 인정받아 팁스(TIPS, 민간 투자주도형 기술 창업지원)에도 선정됐다. 현재는 민간·공공 부문의 리서치 프로젝트와 다양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의약학 전문가들이 만든
헬스케어의 미래

㈜노드큐어 박종환 대표

주요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의약품 치료제, 면역 항암 및 감염병 바이오 소재
주요 제품
꿀벌 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강아지 체지방 감소 유산균 헬로테일즈 라이트 등
홈페이지www.nodcure.com

의약학 박사들이 공동 설립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 기업 ㈜노드큐어는 반려동물과 인간을 아우르는 차세대 의약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 회사는 종양, 감염 면역, 결핵,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제를 연구·개발한다. 대표 파이프라인으로는 전이성 흑색종과 유방암 전이를 억제하는 ‘NC-001’, 항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점막염을 개선하는 ‘NC-001’, 염증성 장 질환(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NC-001’가 있다. NC-001 소재는 동물모델 실험에서 기존 약물 대비 우수한 효과를 입증했으며 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노드큐어는 반려동물용 면역항암제 ‘canine anti-PD-L1 항체’를 개발해 글로벌 반려동물 항암제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다. 또한 체지방감소에 도움을 주는 'NCHBL-004'는 개별인정형원료 등록을 위해 식약처에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이 소재는 인체 및 반려동물 제품으로 인체 및 반려동물 제품으로 확장 개발하며 완제품과 원료 판매를 하고 있으며, 연구 용역 서비스, 조직병리 서비스와 함께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연구 성과의 상용화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24년에는 인체용 일반식품 ‘꿀벌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당씬에게’와 반려동물 영양제 ‘헬로테일즈 라이트’를 출시했다. 특히 꿀벌유산균 NCHBL-004의 체지방 감소 효과 연구를 SCI급 학술지에 게재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노드큐어는 2025년 제11회 대한민국 우수기업대상에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개발 분야 ‘우수 R&D’ 부문을 3년 연속 수상하며 기술력과 연구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조명에서 플랫폼으로
모빌리티 경험을 새롭게

㈜모플랫김태웅 대표

주요 기술
OTA(Over The Air) 기반 솔루션
주요 제품
라이팅 통합 솔루션 LitCon360, QD-LED 기반 차세대 광원 LiTQ
홈페이지www.moplat.io

자율주행 기술과 전기차 시대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이에 따라 자동차 라이팅은 단순한 ‘빛’을 넘어 자동차의 언어이자 사용자 경험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모빌리티에서 플랫폼으로(Mobility to Platform)’라는 비전을 내세운 ㈜모플랫은 자동차 조명 기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한 통합 솔루션으로 차량의 조명 UX를 혁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은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을 구현한다. 대표 솔루션인 ‘LitCon360’은 차량 외부 조명을 주행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UX 기반 시스템이다. ‘LiTQ’는 투명하고 유연한 QD-LED(양자점 전계발광소자)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광원으로 차량 디자인의 자유도를 넓히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또한 SMARTFACE, SMARTLOGO 등 실내외 조명 제품은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기술 검증과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모플랫은 OTA(Over-The-Air) 기반 제어 앱도 함께 제공해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대에 최적화된 UX 플랫폼을 실현한다. CES 참가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했으며 독자적인 QD-LED IP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2027년 QD-LED 양산을 목표로 부산에 생산 라인을 세우는 등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를 향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지구와 우주를
실시간 연결하다

㈜스페이스빔김정훈 대표

주요 기술
위성 정밀 추적, 적응 광학, 자유공간 광통신
주요 제품
우주 광통신 터미널 및 지상국, 실시간 지구 영상 제공 서비스
홈페이지www.spacebeam.co.kr

지구를 넘어 우주를 향한 도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우주광통신’이 주목받고 있다. 우주광통신은 빛(레이저)을 이용해 지구와 우주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기존 전파통신 대비 속도와 효율이 뛰어나 차세대 통신 기술로 기대를 모은다. 2022년 설립된 ㈜스페이스빔은 우주광통신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우주 탐사의 한계를 넓히고 있다. 우주 광통신 터미널 개발, 광통신 지상국 설치 및 운영, 실시간 지구 영상 제공 서비스(Real-time Earth™)가 대표적이다. 또한 위성 정밀 추적 기술, 적응 광학, 자유공간 광통신 등 핵심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실증한다. 국내 최초로 20㎞ 거리에서 10Gbps 속도로 4K 영상을 실시간 전송하는 무선 광통신 실험을 달성했으며 국제우주정거장을 대상으로 한 위성 정밀 추적 실증도 완료했다. 국내 최초로 50㎝ 상업용 광학지상국을 구축하고 자유공간 광통신 네트워크, 통신 터미널 시제품(LUCIola), 위성 데이터 수신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스페이스빔은 실증 기반의 기술력과 엔드투엔드(End-to-End) 통신 솔루션에서 경쟁사보다 앞선다고 자부한다. 향후 6G와 연계한 지상 통신망, 위성 데이터 수신 서비스, 심우주 통신 장비, 태양·달 탐사선 등으로 기술과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빛으로 이어지는 소통’이라는 비전 아래 ㈜스페이스빔은 우주와 지구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통신 기술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